문재인 정부는 좌파성향 시민단체 출신 정부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에서도 참여연대 출신들이 단연 돋보인다. 이처럼 참여연대가 좌파정부의 인재풀이 되자 참여연대 출신들은 출세의 사다리를 타고 전성시대를 누리고 있을 정도다. 참여연대에서 경제민주화위원장을 지낸 장하성은 청와대 정책실장, 조국은 민정수석을, 김성진은 사회혁신 비서관을 맡고 있고, 이 외에도 비서관, 행정관을 포함하면 청와대에만 참여연대 출신들이 상당수 포진하고 있다.
정부에는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정현백 여성부 장관, 박은정 국민권익 위원장, 등이 참여연대 출신이고 박원순 서울시장 역시 참여연대 출신이다. 이번에 금융감독원장으로 임명된 김기식 역시 참여연대 출신이다. 김기식은 1994년 출범한 참여연대 창립멤버로서 17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있으면서 정책실장, 사무처장, 정책위원장을 지냈고 재벌개혁 감시단장을 맡기도 했다. 참여연대는 유독 재벌개혁을 강조했고 그중에서도 주 타킷은 삼성그룹이었다.
참여연대가 한창 대기업을 공격할 당시, 항간에는 대기업의 병폐와 비리 의혹을 물고 늘어져 사회 이슈화 시키면 해당 대기업은 참여연대의 공격을 막기 위해 막후에서 상당한 후원금을 제공하며 로비를 했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을 정도로 이들의 재벌 공격은 집요하고 악랄했던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당시 박원순이 만든 희망제작소와 아름다운 가게를 만든 자금의 원천이 대기업을 협박하여 뜯어낸 시드머니가 바탕이 되었다는 소리가 무성하게 나돌던 시기였으니 말이다.
김기식이 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참여연대 경력을 빼곤 설명이 되지 않는다. 문제는 김기식이 국회의원이 된 다음부터 일어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도하 각 언론매체가 보도하고 있듯, 김기식이 국회 정무위에 속했던 시절에 보여주었던 행태가 과거 참여연대가 주로 사용했던 수법과 어쩌면 그렇게도 속 빼 닮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만 봐도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상대의 약점을 잡아 공격하면 공격받은 상대는 공격수의 입을 막기 위해 로비에 나서는 전형적인 앵벌이 수법 말이다.
2014년 3월의 경우, 한국거래소가 추진하고 있었던 자본시장법을 김기식이 강력하게 반대했다. 그러자 우즈베키스탄 출장길에 본인은 물론 보좌관 출장비까지 한국거래소가 출장비를 전액 대주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했고, 2015년 5월에는 김기식이 국회 정무위 예산결산 소위에서 국책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예산 4억원 삭감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자 미국,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 등의 나라에 여비서와 동행하여 9박10일 출장을 갈 때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본인과 여비서의 출장경비까지 전액 부담했다고 한다.
2015년 5월, 김기식은 우리은행 중국 충칭 분행 개점 행사에 참석차 출장을 갔을 때도 우리은행측이 출장비를 부담했다. 김기식이 국회에서 우리은행이 중국 화푸빌딩을 매각할 때 헐값에 매각한 것이 아니냐고 끈질기게 물고 늘어진 것이 배경이 되었던 것으로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라 같은 당 몇몇 정치인과 더미래연구소라는 것을 차려놓고 대기업과 금융권의 대관업무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350만~600만원짜리 고액강좌를 개설 한 것은 우월적 직위를 이용한 강매행위로서 전형전인 갑(甲)질이 아닐 수가 없다.
더구나 김기식은 국회의원의 해외 출장비를 피감기관이 대신 부담하는 것은 로비나 접대의 성격이 있어 부적절하다고 보도 자료까지 낸 장본인이라는 점에서 후안무치하기 짝이 없다. 김기식은 참여연대를 하면서 상대를 어떻게 공격하면 자신에게 반대급부가 돌아온다는 기술을 일찍이 터득했을 것이고 드디어 국회의원이 되자 그가 평소에 갈고 닦았던 기술을 유감없이 발휘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제 버릇 개 못준다는 말이 있듯, 이 자가 금융감독원장이 되었다고 평생에 걸쳐 습득한 기술을 과연 저버릴 수가 있을까, ‘내로남불’의 전형적인 이런 자가 금융기관을 감독하는 금융감독원장에 기용되었다는 것은 인사권자의 횡포이자 국민을 우습게 보는 오만이 아닐 수가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