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펜
 
[한국전통문화]
 
 
작성일 : 13-08-30 18:00
인조별서유기비 (仁祖別墅遺基碑)
 글쓴이 : 해올
조회 : 2,692   추천 : 1   비추천 : 0  

 
 
ii.jpg

i.jpg

            인조대왕용잠지시별서유기비(仁祖大王龍潛之時別墅遺基碑)
 
서울의 외곽 은평구 역촌동의 자그만 동리 가운데 사람들의 눈에 잘 띠지도 않는 작은 동산이 있다. 밑에는 쉼터가 하나, 그리고 그 위에 작은 문이 있고, 비를 지키는 초막이 하나 있으나 비는 눈에 잘 띄지 안는다. 그 속으로 몇발짝 올라가니 비각이 나오고 비석이 서있다.
 
이 비는 조선 16대 인조가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기전, 능양군으로 용잠 시 별장터에 숙종 21년에 왕명에 의하여 세워진 것이다.
비문에는 [인조대왕용잠지시별서유기비,仁祖大王용潛之時別墅遺基碑]라 음각되어 있고, 후면에는 비를 세운 내력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석비의 조형에서도 거북바침돌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새롭게 등장한 조선시대 초기양식의 전통을 잇고, 지붕돌은 간결한 한옥양식의 변화된 후기 석비양식의 특징을 완벽하게 보여주고 있어 조선시대 석비예술의 흐름을 조명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주; 용잠(龍潛) 왕위에 오르기 전 거처하던 집.
    별서(別墅) 시골 논밭 부근의 한적한 집.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Total 8,110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비추천
50 한문화(韓文化) - 한옥2부 한국의 고향집 bluma 04-18 2473 0 0
49 한가위 행복하세요! 관리자 09-22 2484 0 0
48 한문화(韓文化) - 한옥1부 한국의 고향집, bluma 04-18 2518 0 0
47 숭례문 5년 3개월만에 돌아오다. (2) 주노 05-04 2530 0 0
46 중요무형문화재 선정에 대한 문제( 문화재청 … (2) 주노 07-17 2545 2 0
45 채화칠기 옻칠공예의 전통계승자 최종관 주노 05-06 2549 0 0
44 Documentary Korean Doenjang Gochujang 한국의 장맛 일공 05-05 2561 0 0
43 인조별서유기비 (仁祖別墅遺基碑) 해올 08-30 2693 1 0
42 ‘자연보약’ 사찰음식 (3) bluma 04-24 2711 1 0
41 전통 한옥마을에서... (3) 해올 04-27 2750 0 0
40 ‘전통공예 장인’ 조상의 멋 새기다 (1) bluma 04-20 2751 0 0
39 현악기 '슬' (8) 주노 06-02 2835 0 0
38 밀라노 韓공예전에 伊디자인계 잇따라 호평(… (2) 청기사 04-10 3081 1 0
37 누가 인간문화재가 되어야 하는가?? (1) 주노 12-07 3091 2 0
36 최종관님의 초대전이 라메르 갤러리에서 열… (4) 주노 04-21 3435 0 0
35 미국 덴버미술관이 한국 '채화칠 장인'… (1) 주노 12-14 3543 1 0
34 무형문화재 국회 작품전을 보고... (2) 주노 06-12 3772 0 0
33 창의문(彰義門), '자하문'이라고도 한… (3) 주노 05-25 3840 0 0
32 전통공예, 채화칠기의 진수 최종관 장인의 작… (2) 주노 04-04 3909 0 0
31 한,중 교류를 통해 본 문화창달 (21) 주노 11-25 3930 0 0
   401  402  403  404  405  406